나는 티파니라고 해요.
2012-2014 Global Seoul-Mate

2005開始接觸韓綜、韓樂、韓星,2007開始學韓語
2008第一次遊韓國,至今已自助八次
我的韓國遊記 請至"蒂芬妮 踢昏你"

歌詞翻譯 請勿轉載

◎合作邀約歡迎來信lrt318@naver.com

한국 무용 (韓國舞踊)은 한국의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무용을 말한다. 한국무용은 크게 궁중무용·민속무용·가면무용·의식무용·창작무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무용의 원초적 형태는 국가적 의식 끝에 있는 축제(祝祭)의 흥이 어깨에서 구체화되어, 리드미컬하게 온몸으로 퍼져 멋으로 승화한 것으로 집약할 수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조선시대로 내려오면서 이러한 한국무용의 특성은 변형되었다.

고려·조선시대의 윤리와 사상의 근저를 이루었던 불교와 유교의 가르침은 자연스럽게 발로되는 감각적 육체의 미를 부정하였고 그 때문에 육체의 노출은 금기(禁忌)로 되어 왔다. 이러한 영향 아래 한국무용의 특성이 변형·정형화(定型化)된 것이 궁정무용(宮廷舞踊)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궁정무용과 함께 한국무용의 양대산맥(兩大山脈)이라 할 민속무용은 한국무용의 고유의 원형(原型)을 살리고, 중국의 무용을 흡수·소화한 것으로 경쾌하고 장중하며, 우아하면서도 변화가 거침없는 무용으로 발전하였다.


韓國的用傳統文化為根基製作出的各種舞蹈稱為韓國舞踊。韓國舞踊可以分為大型的宮廷舞、民俗舞、假面舞、儀式舞蹈、創作舞蹈等等。

趴妮 發表在 痞客邦 留言(0) 人氣()

한국 전통 음악 (韓國傳統音樂)은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민요, 음악 등을 말한다.

최근에 만들어졌더라도 전통 음악의 기본적인 틀만 벗어나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한국 전통 음악의 범주에 포함한다. 한국에서는 '나라의 음악'이라는 뜻에서 국악(國樂)이라고도 부른다. 한국 전통 음악의 역사적 분류법은 악곡의 유래와 형식에 의한 구분법이다. 이 구분법 상에서 국악은 크게 아악, 당악, 향악으로 나누어진다.

아악은 중국 송나라에서 유래한 정악으로, 구체적으로는 고려 예종 11년 (1116년)에 수입된 '대성아악(大晟雅樂)'을 지칭한다. 고려 중기까지만 해도 널리 쓰였으나, 고려 후기에 쇠퇴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때에 박연이 중심이 되어 아악을 정리하였다. 현재에 남아있는 아악곡은 문묘제례악 하나뿐이다.

당악은 중국의 당나라에서 전래된 음악과 더불어 중국 송나라의 사악(詞樂)을 총칭한다. 《경국대전》 등에 보이며, 《고려사》〈악지〉에 40여종의 음악이 소개되어 있다. 현재 남아있는 당악은 〈보허자〉와 〈낙양춘〉 두 곡뿐이다. 당악은 대체로 黃=C의 음계를 따른다. 향악은 아악과 당악을 제외한 한국의 재래 음악과 서역에서 전래된 음악을 총칭한다. 판소리, 민요, 잡가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향악은 대체로 黃=Eb의 음계를 따른다.

현대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분류법은 '정악'과 '민속악'으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정악은 궁중음악과 민간 상류층에서 연주되어 오던 모든 음악을 지칭한다. 세부적으로 분류하자면 의식 음악(제례악)으로 분류되는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 궁중의 연례악, 민간 상류층에서 향유하던 풍류 음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민속 음악은 정악에 대칭되는 말로, 민요와 판소리, 잡가, 산조, 시나위를 포함한다. 크게는 불교의 종교 음악인 범패도 포함된다. 창작 국악은 국악기를 사용하거나 국악의 음악적 요소를 이용하여 만든 현대의 국악을 총칭한다.

趴妮 發表在 痞客邦 留言(0) 人氣()

한복(韓服)은 한민족 고유의 옷으로, 북조선은 조선옷이라고 부른다.

한복의 역사는 우선 삼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국시대에는 대체로 유(저고리), 고(바지), 상(치마), 포(두루마기)를 중심으로 관모(모자), 대(허리띠), 화(신발)가 더해졌다 저고리가 엉덩이까지 내려올 만큼 길고, 바지의 통도 넓었으며 남성과 여성이 함께 입는 남녀 공용이었다. 남북국 시대에는 한국 고유의 포는 서민들이 주로 입었으며, 귀족들은 평상복으로만 입었다. 여성들의 새로운 옷으로는 반비(半臂)가 있었는데,주로 귀족들이 저고리 위에 덧입었다. 고려 시대에는 복식 구조가 크게 변했다. 특히 귀족층이나 지배층에서는 중국 옷을 그대로 받아들여 입고, 서민층에서는 우리 고유의 복식을 계승하여 입어 복식의 이중 구조가 나타났다.

조선 시대에는 우리 고유의 복식이 서민복으로 뿌리 깊게 이어졌다. 중기나 후기에 들어서면서 한층 단순해지고 띠 대신 고름을 매기 시작하였으며, 두루마기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말기에는 양반과 서민의 옷 사이에 큰 차이가 없어졌다. 특히 여자 저고리는 후기로 가면서 길이가 짧아져 오늘날과 거의 같은 모양이 되었다. 마고자를 입기 시작하였고 서양 문물의 영향으로 조끼를 입기 시작하였다. 일제 강점기 때에는 여자들의 저고리가 짧아져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한복을 명절이나 특수한 날에만 입게 되었으며,사람들이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생활 한복이 보급되기도 하였다. 청학동에서는 아직도 한복을 일상복으로 입고 있고, 국악고등학교, 민족사관고등학교에서 교복으로 입고 있다. 택견 무술에는 하얀 한복을 입는 것이 통례이며, 첫돌, 환갑, 칠순, 팔순 등의 일부 생일에는 생일을 맞은 사람이 입기도 한다.


韓民族固有服裝、北朝鮮的朝鮮服叫作韓服。

趴妮 發表在 痞客邦 留言(0) 人氣()

한옥 (韓屋)은 전통 한국 건축 양식을 사용한 재래식 집을 말한다. 조선집이라고도 하며, 양옥의 대칭어이다.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물을 마주하는 배산임수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보통이다. 온돌이 있어 집을 데워 추운 겨울을 나고, "대청" 마루가 있어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다.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은 다양한 왕조를 거치며 변모해왔으나 현재 가장 많이 선호되는 양식은 조선왕조의 양식을 주로 따르며, 부분적으로 남북국 시대의 양식을 따르기도 한다.

한옥의 반대 개념으로 양옥을 말하기도 한다. 엄밀한 의미에서의 한옥은 초가집, 너와집, 기와집 등 한국의 전통 건축물들을 포괄하여야 하나 한국에서도 대중적 의미의 한옥은 기와집만을 의미하게 되었다. 한옥은 바람의 통로와 물의 위치, 산과 평야와의 거리와 방향(풍수지리 이론)에 근거하여 집의 목적과 거주자의 성향에 따라 매우 개인적인 차이를 가지고 지어야하는 건축물이다. 산을 등지고 물을 앞에 두며 남쪽으로 지어지는 것을 이상적이라고 본다. 그러나 산의 모양이나 물의 모양에 따라 세부적인 조율이 있고 이는 건축주의 사주팔자나 직업, 지병 등에 따라 건축가가 임의로 조정해왔다.

1970년대 이후 한옥은 고루한 건축물과 비효율적인 건축으로 인식되어 현대적 건축을 배운 건축가들에 의하여 대부분 헐렸다. 구시대의 잔재로 여김에 따라 많은 역사적 가치가 있는 건물이 사라졌으나 2000년대에 이르러 한옥의 자연친화적 기능과 치유의 효과에 힘입어 재조명되고 있다.

用於傳統住宅的傳統韓國建築叫韓屋,是朝鮮住宅又稱西式房屋的對稱。通常依背山面水(依山滂水)的原則,有炕可溫暖寒冷的冬天房子,"廳堂"有木地板可以涼爽地度過夏天。韓國的傳統建築樣式歷經許多朝代的演變,現在最偏好的主要是依照朝鮮王朝的樣式,部分則依南北國時代的樣式。

韓屋的相反概念也叫洋房。在嚴格的意義上,韓屋是必須包括茅草屋、(?)、瓦屋等韓國傳統建築物;在韓國的普遍義意是指只有瓦屋的韓屋。根據風的流動和水的位置、山和平原的距離與方向(風水地理理論),依照房子的目的和居住者的喜好,擁有非常個人化差異的建築物。最理想的是背山面水、面南而蓋,然而建築師依山和水的外觀細部協調、屋主的生辰八字或職業、疾病等任意調整。

趴妮 發表在 痞客邦 留言(0) 人氣()

''몇 살이에요?''
''무슨 일을 하십니까?''
''결혼하셨어요?''

한국 사람을 만나서 인사를 한 후에 곧 듣는 질문이다. 왜 이런 개인적인 질문을 하는 것일까? 나는 이런 질문을 하는 것을 실례라고 생각했다. 그런 질문을 받으면 나는 어떻게 대답을 해야 할지 몰랐다.

학교에서 이야기하는 시간에 선생님께 여쭤 봤다.

''한국 사람들은 이상해요. 왜 개인적인 질문을 많이 합니까?''

趴妮 發表在 痞客邦 留言(0) 人氣()